아이패드 사용 후 변화된 몇가지 생각들
아이패드 사용 후기 - 왜 생각이 바뀌었나?
지난 주말에 회사에서 평가용으로 가지고 있는 아이패드를 직접 사용해 보았다. 이미 전문가들이 속속들이 분석을 한 평가 결과를 블로그에 올리고 있어서, 나의 분석은 괜히 거리낌만 될 것같다. 허나 아이패드를 보면서 나의 선입견과 인식이 어떻게 바뀌게 되었는지, 어떤 고민을 했었는지 간략히 나누고자 한다.
아이패드를 접한 후 내가 보냈던 트윗(tweet)을 다시 읽어 보니,
아이패드를 처음 본 날 - 4월 12일
- 아이패드를 처음으로 봤습니다. 워낙 좋은 평판들을 봐서 그런지, '와'하는 감탄사는 안 나오던데요. 오히려 거실에서 사용하기에는 약간 무겁고 투박한 느낌. 좀 더 들여다 봐야 하겠네요. (3:20PM)
- e-Book을 겨냥했다는 느낌은 단번에 드네요. 앞으로 출판, 교육 시장에는 영향이 일단 클 것 갔다는 것이 첫 인상입니다. 스크린 키보드를 기대했는데 약간 실망. (3:22PM)
- 책을 읽는 데는 킨들이 아이패드보다 낫다고 생각합니다. (3:31PM)
주말에 아이패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 본 후 - 4월 19일
- 주말에 아이패드 써본 짧은 생각. 아이패드는 거실 소파에서 즐길 수 있는 환경, 들고 다니기에는 Mini-아이패드가 있었으면.. Tablet PC 형태가 급속도로 퍼질 것 같은 예감. (12:10AM)
- 워싱턴포스트를 보았는데 종이 신문이 필요없을 듯. 단, 온라인 비용이 신문 사는 것보다 싸지는 시점이 전환점. Kindle 콘텐츠를 킨들과 비교해 보니, 삽화나 사진 품질이 크게 차별이 됨(12:10AM)
- 콘텐츠 업체들과의 관계에서 애플이 한 발 앞서 있는 것은 확실해 보임. 사업 모델이 다양한데 이들이 애플에 가까이 안 다가갈 이유가 없음. SW와 콘텐츠 플랫폼을 중심으로 일관성있게 확장하는 애플이 무섭다는 생각. (12:12AM)
- 아이패드에서 IMDB 보다가 HD 예고편 보는것 환상적입니다. Netflix같은 서비스가 앞으로 더 잘될것 같아요. 눈에 보이는 서비스가 너무 많네요. SW와 콘텐츠 플랫폼에 통일성이 있는 애플이 멀리 앞서 가는 느낌.(12:29AM)
아이패드 속의 뉴욕타임즈
1) 회의 중에 아이폰을 만지작 거릴 경우 딴 짓을 하는 것처럼 비쳐질 수 있다. 그러나, 아이패드를 사용하면 회의에 진지하게 참여하는 모습으로 보인다.
2) 아이패드의 큰 화면에 익숙해 지면 아이폰에서는 무척 답답하게 느껴진다. 사람의 감각이 환경 적응에 익숙하기 때문이다.특히 비디오나 이미지의 경우 정도가 심하다.
3) 뉴욕타임즈나 워싱턴포스트를 보면서 앞으로 종이 신문을 살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4) 아이폰보다 배터리가 오래 간다.
5) 모바일이면서 컴퓨팅이 필요한 이들에게 제격이다. 부팅 시간이 거의 없고 바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볼 수 있으니까..
컨버전스 시대에 시장 주도 세력의 변화
모바일 인터넷 기기 시장은 이제 시작이다. 델, HP 등도 태블릿 PC를 속속 발표를 예고하고 있고, 우리 나라의 대기업들도 개발하고 있다. 문제는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의 생태계를 누가 더 강력하게 만드느냐에 달려 있다. 결국 하드웨어 스펙보다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관건이다.
현재로서는 애플이 훨씬 앞서 간 느낌이다. 아이패드를 보면서 콘텐츠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애플에게 다가갈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니, 그러지 않을 이유가 없다. 광고 플랫폼인 아이애드는 내용의 실효성 여부는 차치하더라도 수익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고민을 해 왔는지 알 수 있다.
'IT와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당하지만 유용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한 사례 (12) | 2010.05.11 |
---|---|
의사가 공개한 의료 정보화의 고충 3가지 (11) | 2010.05.01 |
아이패드 사용 후 변화된 몇가지 생각들 (12) | 2010.04.24 |
페이스북이 한국에서 성공하기 힘든 이유 (33) | 2010.04.20 |
스마트폰 & 아이패드, 여성에 유리한 이유 (6) | 2010.04.10 |
미래로 통하는 길을 여는 CEO 소망한 이유 <유애리의 집중 인터뷰 출연 소감> (2) | 2010.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