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아 충격 후 한국 배우려는 일본의 단상
한국을 배우려는 일본의 모습을 바라보며
김연아 선수의 올림픽 경기는 짜릿했다. 우리 나라가 이기기를 소망하는 것은 한결 같지만, 그래도 다른 경기와는 차원이 달랐다. 전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스타이고, 체력과 기술, 예술이 어우러진 스포츠이기에 한국의 멋과 역량을 만천하에 입증하는 계기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김연아 선수가 훌륭한 퍼포먼스를 보여 주기를 원하는 바램은 절실했다. 결과는 너무나도 만족스러웠고 이어 나온 경쟁자 아사다 마오는 실수를 연발했다.
밴쿠버 올림픽을 마치고 노 골드의 일본이 충격에 휩싸였고, 스피드 스케이팅과 피겨스케이팅을 석권한 한국은 최고의 성적을 냈다. 한국인이라는 자부심을 느끼지 않은 국민은 하나도 없었을 것이다.
충격에 휩싸인 일본 열도
반면 일본은 충격에 휩싸여 의회에서도 “한국을 배우자”는 구호가 나온다. 한국의 비결을 알기 위해 태릉 선수촌을 방문한다고 하고, 이 참에 산업은 왜 한국에 뒤지는지 심층 분석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도요타 사태는 일본을 더욱 곤경에 빠뜨리고 있다. 일본의 대표적 기업 도요타의 이미지 실추는 일본인들의 자존심에 큰 상처를 주었다.
태릉선수촌의 모습
특히 글로벌 사회가 형성되면서 국가적 폐쇄성은 경제 성장에 독이 되고 있다. 어느 지인이 “일본은 자만심에 빠져 더 이상 미국에서 배울 게 없다는 생각에 80년대부터 미국에 가지 않았다. 유학으로든 산업 연수로든… 일본적인 모델로 성공하던 스토리는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라며 문제점을 꼬집었다.
일본의 저력은 신용과 장인 정신
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런 일본을 우습게 볼 자격이 있을까? 지금 이 순간도 우리 나라 전자 제품의 많은 핵심 부품을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고, 로열티로 엄청난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어느 화장품 회사의 사장님 말씀으로는 “100년이 넘은 어떤 중소기업이 있다. 약 150명 규모인데 평균 연령이 40대가 넘는다. 그런데, 세계 유수의 화장품 회사들은 이 회사의 원천 특허를 피해갈 수가 없다.”라며 무서운 장인 정신의 저력에 대해 혀를 찬다.
일본이 진취성과 혁신력에 있어서 한국인보다 정적(靜的)이고 한심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아시아에서 가장 투명하고 정직한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다. 소프트웨어, 콘텐츠와 같은 무형 자산도 공정 거래가 받쳐 주기에 한국보다 10-20배의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그렇게 외치는 공정 거래가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체화되어 있다.
감염된 사이트 분포
(googleonlinesecurity.blogspot.com)
사이버 범죄도 가장 적다. 구글에서 전 세계의 악성코드와 해킹 동향을 분석하면서 감염된 웹 사이트 분포를 나타낸 지도를 보면 일본은 선진국 중에서는 드물게 “그린(Green)”으로 표시된다.
대기업, 한류, 올림픽의 성공에 도취해서는 안 되는 이유
한국이 동계 올림픽에서 승리하고, 일부 대기업이 약진하고, 한류가 퍼져 나가는 것을 보고 우리의 위상에 대해 착각하는 이들이 꽤 있다. 과거에 IT 벤처 거품 시절 어떤 고위급 공무원이 일본에 가서 “일본은 IT와 벤처에 대해 한국에서 배워야 한다”라며 훈수를 두고 왔다고 자랑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일본 젊은이들의 의지가 약하다는 일본인 스스로의 지적을 지켜 보는 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이공계를 기피하고 평생 편하게 일할 직장만 찾는다. 끈기를 가지고 과학 기술에 빠져드는 인내심도 부족하다. 부와 가난이 세습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부모 유산이 있으면 힘든 일을 하지 않고, 정작 돈을 벌어야 하는 젊은이들은 취직하기가 힘들다.
'CEO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충격은 생태계 구성으로 극복해야 (8) | 2010.05.04 |
---|---|
영화 '대통령의 연인'과 오바마 리더십 교훈 (5) | 2010.03.28 |
김연아 충격 후 한국 배우려는 일본의 단상 (25) | 2010.03.11 |
CEO가 아이폰 출시를 환영하는 3가지 이유 (19) | 2009.11.25 |
안랩 CEO로서 신사옥 착공이 갖는 의미는? (17) | 2009.11.22 |
CEO가 취업을 준비하는 젊은이들에게(4) - 갑 vs 을 시대착오적 세태 (12) | 2009.10.05 |